최영희 (192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영희는 일제강점기 경성부에서 태어나 일본 센슈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일본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해방 후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한국 전쟁에 참전, 육군 참모총장과 합동참모회의 의장을 역임했다. 이후 터키 대사 등을 역임하며 정치, 외교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국회의원 4선을 지냈다. 1981년 정계 은퇴 후에는 실업가로 활동하다 2006년에 별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연합참모총장 직무대리 - 정일권
정일권은 러시아 출생으로 만주군 장교, 육군 참모총장, 국무총리, 국회의장 등을 역임하며 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 활동했고 친일 행적과 정인숙 사건 관련 의혹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연합참모총장 직무대리 - 백선엽
백선엽은 일제강점기 만주군에서 복무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 대장까지 오른 군인으로, 다부동 전투 등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외교관과 장관을 역임하다가 2020년에 사망했다. - 수성 최씨 - 최종건 (1926년)
SK그룹의 창업자인 최종건은 1926년 경기도 수원에서 태어나 선경직물을 인수, 섬유 사업을 확장하며 SK그룹의 기틀을 마련했으나 1973년 폐질환으로 사망했다. - 수성 최씨 - 최신원
SK그룹 창업주 최종건의 차남인 최신원은 SKC와 SK네트웍스 대표이사 회장을 역임했으며, 수원상공회의소 회장, 대한펜싱협회 회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 튀르키예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정일권
정일권은 러시아 출생으로 만주군 장교, 육군 참모총장, 국무총리, 국회의장 등을 역임하며 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 활동했고 친일 행적과 정인숙 사건 관련 의혹을 받았다. - 튀르키예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이한림
이한림은 일제강점기 만주군 장교로 복무하고 한국 전쟁에서 제9사단장으로 백마고지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으며, 5·16 군사정변 당시 강제 예편 후 건설부 장관, 한국관광공사 사장, 대사를 역임하고 2012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최영희 (1921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 최영희 |
한자 | 崔榮喜 |
가타카나 | 체・ヨンヒ |
로마자 표기 | Choe Yeong-hui (2000년식) Ch'oe Yŏnghŭi (MR식) |
영문 표기 | Choi Young-hee |
공직 정보 | |
직책 | 제16대 국방부 장관 |
임기 | 1968년 2월 28일 ~ 1968년 8월 5일 |
대통령 | 박정희 |
전임 | 김성은 |
후임 | 임충식 |
차관 | 강서룡 국방부 차관 유근창 국방부 차관 직무대행 서리 이경호 국방부 차관 |
총리 | 정일권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21년 3월 1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 종로방 돈의정 |
사망일 | 2006년 1월 11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배우자 | 이금란 |
본관 | 수성(隋城) |
부모 | 최상덕(부), 강상봉(모) |
자녀 | 6녀 |
형제 | 최대희(형) 최숙희(누이동생) |
친인척 | 김상우(다섯째 사위) 최창갑(친조부) 최지운(동복 고모) 최상엽(이복 숙부) 윤병현(매제) 윤상록(사돈) 윤호병(사돈) 윤태일(사돈) 김두만(사돈) 윤동민(사돈) |
종교 | 불교 |
신장 | 175cm |
체중 | 75kg |
정치 경력 | |
정당 | 무소속 |
경력 | 터키 대사(이란,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대사 겸직) 민주공화당 당무위원 제7대 국회의원(전국구) 제8대 국회의원(평택군) 제9·10대 국회의원(유신정우회) 유신정우회 원내총무 유신정우회 의장 민주정의당 최고위원 한국국민당 최고위원 신민주공화당 최고위원 겸 고문 자유민주연합 최고위원 겸 고문 |
군사 경력 | |
군 복무 | 일본제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 |
복무 기간 | 일본제국 육군(1944~1945) 대한민국 육군(1946~1961) |
계급 | 일본제국 육군 소위 대한민국 육군 중장 |
지휘 | 육군 제1사단 15연대 육군 제5사단 육군 제8사단 육군 제15사단 육군 제5군단 육군본부 합동참모본부 |
참전 | 한국 전쟁 |
서훈 | |
훈장 | 대한민국 충무무공훈장(1950.12) 대한민국 충무무공훈장(1951.2) 미국 은성훈장(1951.3) 대한민국 을지무공훈장(1952.5) 미국 동성훈장(1952.9) 대한민국 충무무공훈장(1952.12) 미국 근무공로훈장(1953.5) 대한민국 태극무공훈장(1953.6) 대한민국 을지무공훈장(1953.9) 에티오피아 일등성장 명예훈장(1968.5) |
외부 링크 | |
웹사이트 | 헌정회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참고 자료 |
2. 생애
최영희는 육군 중장으로 육군참모총장과 연합참모총장을 지냈다. 민주공화당 소속 전국구 의원으로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이후 유신정우회를 거치며 4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경성부에서 태어나 경상북도 포항에서 유아기를, 경기도 수원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경성삼판심상소학교(현재 서울삼광초등학교) 동창인 유재흥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장과는 군사영어학교 동기로 임관하여 육군 중장으로 예편할 때까지 함께 국군에서 복무했다. 사위 중 한 명은 15대 국회의원을 지낸 김상우 前 교수이다.
1944년 일본 센슈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일본 육군 공병 학교를 거쳐 일본 육군 공병 소위로 임관하였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제1사단 지휘 하에 임진강과 낙동강 전투에서 활약했다. 1950년 10월 제1사단 부사단장, 12월 제8사단장을 역임했다.
1952년 6월 국방부 차관보 겸 정훈국장, 7월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을 거쳐 8월 미국 육군 지휘참모대학교에 유학했다. 1953년 6월 제15사단장[2], 9월 제5군단장을 역임했다. 1956년 9월 제2군 사령관, 1959년 2월 교육총장을 거쳐 1960년 5월 육군 참모총장이 되었다.
1960년 10월 육군에서 퇴역하고, 1962년 4월부터 주터키특명전권대사를 역임하며 주이란, 요르단, 사우디 아라비아 특명전권대사를 겸직했다. 1961년 조지 워싱턴 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1].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공천으로 당선되었고, 1968년 2월 국방부 장관에 취임했다. 1979년 유신정우회 의장을 역임했다[1].
1981년 정계 은퇴 후 실업가로 활동하며 한국지역사회복지회 회장, 대한통운 사장, 한국종합식품 회사 사장, 단국대 재단 이사 등을 역임했다[1][3]. 2006년 1월 11일 별세하여 육군장으로 장례가 치러졌고, 국립대전현충원 장군묘역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복무
최영희는 1921년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수성(隋城)이며, 호는 벽파(碧波)이다. 경성삼판심상소학교(현재 서울삼광초등학교)를 졸업했다. 1944년 일본 센슈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일본 육군 공병학교를 거쳐 일본 육군 공병 소위로 임관하였다.광복 후, 1945년 9월 조선학병동맹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그러나 공산주의적 편향에 회의를 느껴 탈퇴하고, 이후 학병단을 결성하여 좌파와 대립하였다. 1945년 말, 미 군정청의 군사영어학교에 입교하여 1946년 1월 졸업과 함께 조선국방경비대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군 복무 주요 이력은 다음과 같다.
시기 | 내용 |
---|---|
1947년 4월 | 조선국방경비대 제6연대 2대대장 |
1948년 7월 | 대한민국 국군 육군본부 초대 인사국장 |
1950년 4월 | 육군 제5사단 15연대장 |
1950년 6월 | 한국전쟁 참전 |
1950년 7월 | 육군 제1사단 15연대장 |
1950년 10월 | 육군 준장 승진, 육군 보병 제1, 8, 15 사단장 역임 (8사단장 재임 중 횡성지구 전투에서 중공군에게 패배) |
1951년 6월 | 국방부 장관 보좌관 |
1952년 5월 | 육군 소장 승진 |
1952년 6월 | 국방부 육군 제2국장 |
1952년 7월 | 육군본부 작전 참모부장 |
1953년 6월 | 육군 제15보병사단장 |
1953년 9월 | 육군 제5군단장 |
1954년 5월 | 육군 중장 승진 |
1956년 10월 | 육군 제2군사령부 사령관 |
1959년 2월 | 국군 제병교육총본부 총장 |
1960년 5월 | 육군참모총장 선출 (허정 대통령 권한대행 겸 내각수반은 최경록을 육군참모총장에 임명하려 했으나, 장면 민주당 대표최고위원과 인연이 있던 최경록은 사양) |
1960년 8월 | 육군참모총장 사퇴, 연합참모총장 |
1960년 10월 | 연합참모본부 고문 |
1961년 2월 | 육군 중장 퇴역 |
2. 2. 한국전쟁 참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제1사단의 지휘 하에 들어가 임진강과 낙동강에서의 전투에서 용감하게 싸웠다.[2] 1950년 10월, 제1사단 부사단장에 임명되었고, 12월에는 제8사단장이 되었다.[2]1950년 7월 말부터 8월 초, 제15연대장이었던 최영희는 독단적으로 대구에 모집반을 파견하여 인력을 모았다. 당시 여러 부대에서 물자 하역 등의 노무자를 자체적으로 모으고 있었기에, 여기까지는 문제가 없었지만, 제15연대는 3천 명의 인원을 모아 계급을 부여하여 대대 3개와 보충대대 1개로 편성했다.
1951년 4월, 제8사단은 호남 지방의 게릴라 소탕에 성공했다. 전과뿐만 아니라 민중 대책에 만전을 기하여 주민들의 평판이 좋았다. 백선엽은 최영희가 이번 토벌 전까지 대 게릴라전 경험이 없었는데, 어떻게 저렇게 능숙하게 대처했는지 신기하게 여겼다. 그 이유를 묻자 최영희는 "상식입니다. 모든 전투에서도 그렇지만, 교양, 인격, 인간성, 덕성, 그것들을 종합한 상식을 가지고 있으면 반드시 잘 해낼 수 있습니다. 상식이 없으면 반드시 실패합니다"라고 답했다.
1951년 여름, 유엔군의 하계 공세가 실시되었다. 이 공세에서 미국 제10군단(바이아스 소장)은 예하 5개 사단을 병렬 배치하여 제한 공격을 실시, 예하 부대끼리 경쟁하게 했다. 이 공세에서 화력이 적고 지형이 가장 견고했던 대한민국 제8사단의 공격이 가장 진척되어, 항상 제10군단의 공세를 선도하는 형태가 되었다. 이는 최영희 사단장이 예하 부대가 경쟁하는 것 대신 협력하도록 마음 썼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사단은 가진 화력을 최대한 사용하고, 서로 돕는 것을 통해 사단의 전 전력을 항상 발휘할 수 있었다. 그 때문에 제8사단은 "전과를 다투지 않는 부대"로 유명했다.
백선엽에 따르면 최영희는 밝은 성격이었고, 그 때문에 그가 지휘하는 부대는 항상 밝았다.[10] 1951년 2월 횡성 전투에서 제8사단이 큰 손해를 입자, 신성모 국방부 장관이 격노하여 사단장 교체, 퇴역과 같은 엄중한 처분이 결정될 뻔했다.[10] 그러나 최영희의 밝은 성격을 높이 평가한 아몬드 군단장은 지금까지의 전공에 실버 스타를 수여하겠다고 말하며, 그 수여식에 국방부 장관의 참석을 요청했다.[10] 이것으로 장관의 분노가 가라앉아 사단장 교체는 중지되었다.[10][11]
2. 3. 육군참모총장 재임과 퇴역
1960년 5월, 허정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는 최경록을 육군 참모총장으로 임명하려 했으나, 장면 민주당 대표 최고위원과 인연이 있던 최경록은 이 제안을 거절했다. 이러한 정치적 이해관계로 인해 최영희가 육군 중장으로 육군 참모총장에 선출되었다.[1] 1960년 10월, 참모총장 퇴임 후 합동참모회의 의장을 역임하고 육군에서 퇴역하였다.3. 정치 및 외교 활동
최영희는 육군 중장 출신으로 육군참모총장과 연합참모총장을 역임했다. 1960년 정치적 이해관계로 육군 참모총장에 선출되었고, 이후 합동참모회의 의장을 역임했다. 1967년 제7대 민주공화당 소속 전국구 의원으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이후 제10대까지 민주공화당과 유신정우회에서 활동하며 4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1979년에는 유신정우회 의장을 역임했다.[1]
3. 1. 외교관 활동
1960년 10월 육군에서 퇴역하고, 1962년 4월부터 주터키특명전권대사로 임명되었으며, 겸임으로 주이란, 주요르단, 주사우디 아라비아 특명전권대사를 겸직했다.[1] 1961년에는 조지 워싱턴 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1]3. 2. 국회의원 및 국방부 장관
1960년 5월, 정치적 이해관계로 인해 육군 참모총장에 선출되었고, 참모총장 퇴임 후 합동참모회의 의장을 역임했다. 1960년 10월 육군에서 퇴역하고, 1962년 4월부터 주터키특명전권대사로 임명되었으며, 겸임으로 주이란, 주요르단, 주사우디아라비아 특명전권대사 등 4개국 특명전권대사를 겸직했다.[1]1967년 7월, 민주공화당 공천으로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1968년 2월, 국방부 장관에 취임했다. 1979년에 유신정우회 의장을 역임했다.[1]
3. 3. 유신 체제 참여
1967년 민주공화당 공천으로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1968년 국방부 장관에 취임했다. 1979년 유신정우회 의장을 지냈다.[1]4. 정계 은퇴 이후
崔永禧|최영희중국어는 1981년에 정계에서 은퇴한 후 실업가로 변신하여 한국지역사회복지회 회장, 대한통운 사장, 한국종합식품 회사 사장, 단국대 재단 이사 등을 역임하였다.[1][3] 2006년 1월 11일 별세하였으며, 장례는 육군장으로 치러졌고, 국립대전현충원 장군묘역에 안장되었다.
5. 학력
연도 | 내용 |
---|---|
1940년 | 휘문고등보통학교 졸업(32회) |
1944년 2월 | 센슈 대학 법학 학사 |
1946년 | 군사영어학교 1기 졸업 |
1947년 | 통위부 보병학교 졸업 |
1948년 | 육군공병학교 졸업 |
1949년 | 육군보병학교 졸업 |
1952년 |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 졸업 |
1962년 2월 | 조지 워싱턴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1] |
5. 1. 명예 박사 학위
6. 상훈
수여 날짜 | 훈장 | 비고 |
---|---|---|
1950년 12월 | 금성충무무공훈장 | |
1951년 2월 | 은성충무무공훈장 | |
1951년 3월 | 실버 스타 | 미국 수여[4][5] |
1952년 5월 | 금성을지무공훈장 | |
1952년 9월 | 동성무공훈장 | 미국 수여 |
1952년 11월 | 레지옹 오브 메리트 | 미국 수여[6] |
1952년 12월 | 동성충무무공훈장 | |
1953년 1월 | 레지옹 오브 메리트 | 미국 수여[7] |
1953년 5월 | 근무공로훈장 | 미국 수여 |
1953년 6월 | 태극무공훈장 | [2] |
1953년 9월 | 은성을지무공훈장 | |
1968년 5월 | 에티오피아 일등성장 명예훈장 | |
을지 무공훈장 | ||
화랑 무공훈장 |
7. 가족 관계
8. 평가 및 비판
1950년 7월 말부터 8월 초 사이에 최영희는 대구에 모집반을 파견하여 독단적으로 3천 명의 인원을 모집하였다. 그리고 이들에게 계급을 부여하여 대대 3개와 보충대대 1개로 편성했다. 당시 다른 부대들도 자체적으로 노무자를 모집하고 있었기에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독단적인 병력 편성은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
8. 1. 긍정적 평가
최영희는 밝은 성격의 소유자로, 그가 지휘하는 부대는 항상 밝은 분위기를 유지했다.[10] 이러한 긍정적인 분위기는 부대 운영과 전투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951년 4월, 최영희가 이끄는 제8사단은 호남 지방의 게릴라 소탕 작전에서 민간인 피해를 최소화하고 주민들의 평판을 얻는 데 성공했다. 백선엽은 대 게릴라전 경험이 없었던 최영희가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 것에 대해 놀라워하며 그 비결을 물었다. 최영희는 "상식"을 강조하며, 교양, 인격, 인간성, 덕성을 갖춘 상식이 있다면 어떤 전투에서도 성공할 수 있다고 답했다.
1951년 여름, 유엔군의 하계 공세에서 미 제10군단은 예하 부대 간 경쟁을 유도했지만, 최영희는 예하 부대 간 협력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제8사단은 화력을 최대한 활용하고 서로 협력하여 전력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제8사단은 "전과를 다투지 않는 부대"로 알려지며, 미 제10군단의 공세를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1951년 2월 횡성 전투에서 제8사단이 큰 피해를 입자, 신성모 국방부 장관은 최영희에게 엄중한 처분을 내리려 했다.[10] 그러나 평소 최영희의 밝은 성격을 높이 평가했던 아몬드 군단장은 그에게 실버 스타를 수여하고, 수여식에 국방부 장관을 초청하여 사단장 교체를 막았다.[10][11]
9.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명 | 직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67년 | 총선 | 국회의원 | 민주공화당 | 5,494,922표 | 50.6% | 전국구 10번 | 당선 | 초선 |
1971년 | 총선 | 국회의원 | 민주공화당 | 36,087표 | 51.48% | 1위 | 당선 | 재선 |
1973년 | 총선 | 국회의원 | 유신정우회 | 지명 | 당선 | 3선 | ||
1978년 | 총선 | 국회의원 | 유신정우회 | 지명 | 당선 | 4선 |
참조
[1]
웹사이트
최영희(崔榮喜)
https://encykorea.ak[...]
2023-08-15
[2]
웹사이트
韓國戰爭史第9巻 對陣末期(1953.1.1~1953.7.27)
http://www.imhc.mil.[...]
한국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8-10-16
[3]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3
[4]
웹사이트
Yung Hi Choi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2015-12-26
[5]
웹사이트
Lt. Gen. Edward M. Almond congratulates Brig. Gen. Choi Yong Hi, after presenting him the Silver Star for outstanding leadership
http://archive.histo[...]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2019-07-12
[6]
웹사이트
Maj. Gen. H. I. Hodes presents the Legion of Merit to Brig. Gen. Choi Young Hi, for exceptionally meritorious service during the period 25 December 1950 to 15 April 1952
http://archive.histo[...]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2019-07-12
[7]
웹사이트
Choi Young Hi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2015-12-26
[8]
웹사이트
공군의 전설, 6·25 때 100회 출격!
http://www.mediavill[...]
2023-09-25
[9]
문서
서쪽에서 한국 제7사단, 미국 제2사단, 한국 제5사단, 미국 제1해병사단, 한국 제8사단.
[10]
서적
지휘관의 조건
草思社
[11]
뉴스
<815>노병이 걸어온 길-65-중동부 전선의 불행
http://kookbang.dema[...]
2020-02-03
[12]
뉴스인용
4선 의원 최영희씨 별세
http://www.hani.co.k[...]
한겨레
2007-11-18
[13]
뉴스인용
터키대사에 최영희 중장
http://newslibrary.n[...]
1962-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